2024 기록의달

'Join Together'

2024.06.07 ~ 2024.06.30

5년차 문화도시 기대되쥬?

법정 문화도시 5년차 청주

2024.01.01 ~ 2024.12.31

문화플랫폼 [클레이]

문화로 즐거운 세상 클레이! 지금 다운로드 하세요

2022.07.01 ~ 2024.12.31

지역 내 문화소식

더보기
지역소식

제9회 청주시 시민의 날ㆍ통합 청주시 출범 10주년 기념식

2024. 7. 1.(월) 14:00

지역소식

고영철 첼로 리사이틀 <Cello in Blue>

2024. 07. 17.(수) 19:30

지역소식

<잇다, 품다> 전시 개막식

2024. 6. 28.(금) 15:20

지역소식

문화도시 청주 시민 아카이브 개관식

2024. 6. 26.(수) 16:00

지역소식

2024 김수현드라마아트홀 「드라마클래스-드라마 리딩 클럽」 참여자 모집

신청기간 2024. 6. 24.(월)~7. 7.(일)

지역소식

지속가능한 기록문화도시 포럼

2024. 6. 19. (수)

지역소식

청주시립예술단과 함께하는 제2회 문화도시 청주 피크닉 콘서트

2024.6.28.(금)~6.30.(일) 19:30

지역소식

2024 기록의 달 'Join Together'

2024. 6. 7.(금) ~ 6. 30.(일)

지역소식

2024 춘천 문화도시 박람회

2024. 5. 30.(목) ~ 6. 2.(일) / 4일간

지역소식

청주시민대학X청주랜드동물원 <동물원 밖 야생동물>

보도자료

더보기
  • 문화도시 청주 시민 아카이브 ‘ㄱ의 숲’ 개관식 개최

    청주 문화예술자원의 기록과 행복했던 문화현장의 기억, 법정문화도시 청주 5년을 기념하는 ‘ㄱ의 숲’이 마침내 베일을 벗었다.청주시와 청주시문화산업진흥재단 문화도시센터(이하 문화도시센터)는 2일 오후 4시 청주첨단문화산업단지 1층에서 ‘문화도시 청주 시민 아카이브 - ‘ㄱ의 숲’’ 개관식을 개최했다.이범석 청주시장과 김병국 청주시의회 의장을 비롯해 지역예술인과 시민 등이 참석한 가운데 블루윈드 앙상블의 무대로 막을 연 이날 개막식은 ‘ㄱ의 숲’이 담아낸 청주의 문화예술자원과 법정문화도시 청주의 5년을 함께 돌아보는 시간이었다.‘ㄱ의 숲’은 청주 문화예술자원의 기록과 행복했던 문화현장의 기억, 법정문화도시 청주 5년을 기념하는 의미를 공통된 자음 ㄱ(기억)에 함축하고 청주가 문화와 예술로 풍성한 숲이 되길 기원하며 이름 지어졌다.숲을 모티브 삼은 공간답게 나무내음 가득한 목재를 기반으로 초록색을 주 컬러로 조성해 보는 것만으로도 청량함과 쉼을 선사한다.내부는 문화도시 청주 홍보관과 문화예술인 아카이브관, 2개 공간으로 구성했다.우선 문화도시 청주 홍보관은 청주가 지난 2020년부터 5년 동안 진행해온 문화도시조성사업의 성과를 한 눈에 톺아볼 수 있게 꾸며졌다.전시 패널에서는 5년의 시간 동안 문화도시가 성장해온 순간순간들이 한 장 한 장의 사진과 기록들로 펼쳐지고, 그 과정에서 제작한 청주를 담은 굿즈와 영상 등의 결과물도 만날 수 있다.또 청주의 유·무형 자원을 망라한 6권의 시리즈 ‘다시 찾은 보물’을 비롯해 문화도시 청주가 발굴하고 기록한 ‘다음세대 기록인’등의 자료들도 키오스크를 통해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문화예술인 아카이브관은 청주를 빛낸 예술인들을 만나는 장이다. 향후 청주 출신의 다양한 분야의 예술인들을 순차로 발견하고 만날 수 있게 될 공간이다.개관 기념 아카이브 대상자로 선정된 예술인은 독일에서 활동 중인 세계적인 현대음악 작곡가 박영희를 비롯해 단색화의 거장 고 윤형근 작가, 충북에 음악의 씨앗을 뿌린 고 이상덕 음악인, 근대 조각의 선구자 고 김복진 조각가 총 4인이다.지난해 KBS 한국방송과 연계한 문화도시 청주의 다음세대를 위한 기록활동 프로젝트로 지역에 이어 전국방송까지 깊은 반향을 일으켰던 주인공, 작곡가 박영희의 생을 엿볼 수 있는 ‘작곡가의 방’에서는 끊임없는 작곡 작업으로 소매와 팔꿈치가 해질 대로 해진 카디건을 비롯해 작업대와 안경, 그리고 여전히 손으로 악보를 그리는 그녀의 철학이 응축된 몽당연필까지 그녀의 온기가 깃든 물건들이 머나먼 독일에서의 삶을 가늠케 한다.또한 고 윤형근 작가의 아카이브 존에서는 화가의 작품을 디지털 이미지로 감상하고 그의 화첩과 메모, 서신의 문장들을 모은 단행본 ‘윤형근의 기록’을 곱씹으며 화가와 함께 사유하는 즐거움을 누릴 수 있다.유족들이 기증한 하모니카와 지휘봉 등을 통해 고 이상덕 선생의 음악인생을 만나고, 2016년 청주시립미술관 개관전 당시 재현했던 ‘백화(정창훈 축소 모작)’와 ‘소년(정창훈 축소 모작)’을 통해 조각가 김복진 삶을 반추할 수 있다는 것 또한 이기에 가능하다.문화예술인 아카이브 관을 조성할 수 있게 기꺼이 유품을 내어준 고 이상덕 선생의 장남 한국교통대 음악학과 이강희 교수 등에게는 이날 감사패가 전달됐다.이범석 청주시장은 “청주 문화예술자원의 기록과 행복했던 문화현장의 기억, 법정문화도시 청주 5년을 기념하는 ‘ㄱ의 숲’은 청주시민의 자긍심을 높이고 문화도시 청주의 정체성을 더욱 견고하게 만드는 공간으로 오래도록 자리하게 될 것”이라며 “이 문화와 예술의 숲이 더 울창해지고 푸르러질 수 있도록 문화도시 청주는 앞으로도 계속 정진해나갈 것”이라고 말했다.‘문화도시 청주 시민 아카이브 - ‘ㄱ의 숲’’은 청주첨단문화산업단지 1층에 자리하고 있으며 연중 개방된다.출처 : 금강일보(https://www.ggilbo.com/news/articleView.html?idxno=1036042)

    2024.06.26
  • 청주시립예술단과 함께하는 문화도시 청주 ‘피크닉 콘서트’

    청주시립예술단과 함께하는 제2회 문화도시 청주 ‘피크닉 콘서트’가 오는 28일부터 6월 30일까지 저녁 7시 30분 문화제조창 잔디광장에서 열린다.청주시립예술단과 청주시문화산업진흥재단이 통합 청주시 출범 10주년을 기념하고 2024 청주 문화도시 기록의 달 일환으로 3일간 풍성한 공연을 마련했다.28일 첫날은 청주시립교향악단과 청주시립합창단이 꾸민다.박진감 넘치는 리듬의 글린카 작곡 ‘루슬란과 루드밀라’ 서곡을 시작으로 청주시립합창단 남성합창과 소프라노 장혜란이 함께 꾸미는 ‘Italian Street Song’, ‘우정의 노래’가 이어지며, 트럼펫 6중주와 함께 앤더슨 작곡의 ‘나팔수의 휴일’로 흥겨운 무대를 선보인다.문화도시 청주 '피크닉 콘서트' 포스터.최근 한국 클래식 색소폰 역사에 새로운 장을 열고 있는 브랜든 최의 협연으로 ‘탱고 클럽’과 비틀즈의 명곡 ‘헤이 쥬드’를 감미로운 선율로 만나볼 수 있으며, 뮤지컬 가수 소냐와 함께 ‘Fame’, 뮤지컬 ‘지킬앤하이드’의 ‘Someone Like You’, ‘아름다운 강산’으로 화려한 무대를 장식한다.마지막 순서로는 청주시립합창단과의 콜라보 무대로 흥덕사지가 위치해 있는 운천동의 옛 지명인 구루물을 소재로 작곡한 윤학준의 ‘구루물 연가’와 베르디 작곡의 ‘개선행진곡’으로 통합 청주시 출범 10주년을 축하하는 1일차 ‘청주를 노래하다’ 공연을 화려하게 마무리한다.29일 두 번째 날은 청주시립국악단과 청주시립무용단이 선보인다.파워풀한 에너지를 느낄 수 있는 무용단의 ‘구정놀이’를 시작으로 꽃과 새가 어우러져 노니는 풍경을 재해석한 부채춤 ‘화조풍월(花鳥風月)’이 이어진다.다음은 국악단의 무대로 드넓은 평야의 웅장함과 온화함을 표현한 국악관현악 ‘광야의 숨결’을 연주하며, ‘쑥대머리’, ‘난감하네’ 등을 국악 오디션 프로그램 MBN ‘조선판스타’ 우승자인 김산옥과 함께 한다.또한 ‘한오백년’, ‘코뿔소’ 등을 강태관의 소리로 만나볼 수 있으며, 마지막은 박범훈 곡의 사물놀이 협주곡 ‘신모듬’을 이광수와 민족음악원이 꾸미며 2일차 ‘청주를 두드리다’공연의 대미를 장식한다.30일 마지막 날은 부활, 테이, 박서진, 요요미, 케이시 등 인기 가수들의 화려한 무대와 ‘CCUD 댄스컴퍼니’의 통합 청주시 10주년 기념 퍼포먼스를 선보이며 피크닉 콘서트의 마지막 밤을 뜨겁게 들썩일 예정이다.시 관계자는 “통합 청주시 출범 10주년을 기념하는 의미 있는 시간을 마련했다”며 “많은 분들이 오셔서 자유롭게 공연을 관람하고 즐거운 시간을 만끽하시길 바란다”고 말했다.돗자리를 지참하면 더욱 편안하게 공연을 관람할 수 있으며 우천 시 공연 장소는 올림픽기념국민생활관으로 변경된다.출처 : 충청리뷰(https://www.ccreview.co.kr/news/articleView.html?idxno=318818)

    2024.06.26

문화아카이빙

  • 문화인443
  • 문화공간226
  • 문화축제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