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아카이빙

문화인

ⓒ2019. 청주시문화산업진흥재단. All Rights Reserved. 작품이미지의 도용 및 무단 재배포를 금지합니다.

문학

이귀란

가난하고 힘없고 낮은 사람들의 인권을 위해

소        개 소설가
활동분야 문학
활동지역 청주, 전국
주요활동 작품창작
해시태그 #한국문인협회 #충북소설가협회 #대한기독문인협회
인물소개


낭성에서 넓은 창으로 가을 햇살이 그녀의 집으로 다 들어오는 듯하다.

꽃차를 만들었다며 차를 준비한다. 인생의 절반을 청주에 살았으니 이제는 청주가 고향이라는 소설가 이귀란 작가는 어려서 자란 고향 영등포가 지금의 가덕과 비슷했다고 한다. 신도림 전철역 아래 흐르는 도림천은 새우를 잡으며 유년의 꿈을 키운 그리움의 보고이다. 

들판을 뛰놀지 않는 날이면 책장에 꽂혀 있던 이수일과 심순애, 죄와 벌, 벤허, 덴마크의 국부 구룬트비히 등을 읽으며 꿈을 키웠다고 한다.

 

추구하는 작품세계는 변방

 

소설가 이귀란 작가가 추구하는 작품세계는 언제나 변방이다. 

작품집변방의 주인공들은 하나같이 변방에 처해있는 사람들이다. 자본주의의 구조적 모순으로 인해 변방에 처하게 되고, 힘들고 아파도 힘들다, 아프다고 말할 기운조차 없는 사람들의 허기진 삶을 다룬다. 그녀는 다수의 사람이 겉으로는 멀쩡해 보여도 내부에는 갖가지의 아픔과 소외, 좌절, 체념과 방황, 우울증 같은 것들을 앓고 살아가고 있다고 말한다. 그런 사람들의 내부에서 울부짖는 소리를 흘려보낼 수 없어 소설을 쓴다고 한다.

 

'왜 그럴까?'

 

고민하던 그녀는 어려서부터 스스로 변방에서 자라서 그렇지 않았을까?” 라고 답한다. 조실부모한 그녀는 4남매의 막내로 태어나 형제들과 나이 턱이 많이 났다. 그래서일까 혼자 지내는 시간이 많았고, 비어있는 시간은 언니 오빠들이 읽던 책을 읽으며 지냈다고 한다. 혼자 지내는 시간 그 시간은 외로워도, 같이 있어 달라고 말할 수 없는 나날이었으리라. 

2019년 연말에 나온 작품집 <월정리 역>도 역사 속에서의 변방이라고 말한다. 정치인들이나 경제인들 누구도 민족의 숙원인 통일에 대하여 논하지 않고 개인의 안일만을 위하는 현실이 안타까워 <월정리 역>을 썼다고 한다. 

남과 북 온 국민의 염원인 통일을 민족의 정서와 닮은 두루미들의 사랑과 상처와 슬픔 속에 녹여 통일을 노래하고, 대한이와 민국이라는 쌍둥이를 등장시켜 통일의 벽을 허물어내는 작가의 상상력은 감동으로 다가온다. 

통일에 관한 소설을 보기 힘든 지금, 통일로 가는 길이 얼마나 험난한 길인지 실감하는 작금의 현실에서 독자는 이 소설을 통하여 다시 한번 통일의 의미를 되새기게 될 것이다.

 

어느 한쪽이 기울거나 썩지 않고 균형을 이루도록

 

그녀는 논술학원을 운영하고 있다. 아이들과 함께 수많은 문학작품을 읽고 작품 속에 나타나는 등장인물들의 삶을 통하여 역사의식과 함께 공동체적 삶을 가르치고 있다. 날이 갈수록 개인주의가 팽배해 가는 현실에서 어느 한쪽이 기울거나 썩지 않고 균형을 이루도록, 그 일선에서 일하라고 가르치고 있다. 

할 수 있거든 NGO에서 가난하고 힘없고 낮은 사람들의 인권을 위해 일하라고 목소리를 높인다. 그러기 위해서 각계각층의 다양한 도서를 읽고 사유의 시간을 통하여 토론한 후 글을 쓰게 한다. 이귀란 소설가는 앞으로도 변방의 사람들 소리를 들을 거란다.

그의 소설이 변방의 사람들에게 큰 위로가 될 것이다. 

한국문인협회, 충북소설가협회, 대한기독문인협회, 국제문학 중부지사장을 역임했고 소설과 동화를 쓰고 있다. 지금은 낭성의 산자락 전하울의 골짜기에 살면서 지역의 유래나 전설, 풍습들을 조사하여 소설을 구상하고 있다
 

관련이미지
사진 발행일 제작/출처
김용례 구연길 2021.01 청주시문화산업진흥재단

ⓘ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청주시문화산업진흥재단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 등에 따라 법적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